지역공동체사업 육성 및 지원
1.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역공동체사업 활성화방안 수립
-
추진방향Progress Direction
기존 완주군에서 운영되고 있는 21개 지역공동체사업의 현황을 진단하고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활성화방안 수립
마을의 문화사회적 배경과 농업경제적 상황을 반영하는 활성화 방안 수립
-
사업내용Business Contents
21개 공동체사업 현황 분석 및 맞춤형 활성화 방안(일자리 창출) 제시
지역공동체사업 관리체계 개발(관리항목, 평가지표 등)
전문가간담회를 통해 활성화방안 내용 감수
완주의 특수성을 반영한 지역공동체 신규 사업 및 프로그램 개발 제안
-
추진일정Promotion Program Plan
-
내용 실행계획수립 현장모니터링 전문가간담회 활성화방안수립 -
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-
내용 실행계획수립 현장모니터링 전문가간담회 활성화방안수립 -
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
-
2. 신규 공동체사업 지원 및 교육
-
추진방향Progress Direction
다양한 수준의 공동체들이 사회적 경제시스템에 참여할 수 있도록 낮은 단계의 공동체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
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애로사항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필요한 교육 실시
-
사업내용Business Contents
공동체 발굴 : 2월 공모 및 연중 수시 발굴 총 15개소
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워크숍 교육을 통해 신규사업 연착륙 지원 : 워크숍 2회
-
추진일정Promotion Program Plan하반기 추진계획은 점검결과를 토대로 재수립(6월중)
-
내용 추진계획수립 공모 발굴 모니터링 진행 진단교육워크숍 결과보고서 -
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-
내용 추진계획수립 공모 발굴 모니터링 진행 진단교육워크숍 결과보고서 -
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
-
3. 공동체사업 활성화 지원
-
추진방향Progress Direction
기존 마을 및 공동체 사업 성과평가 결과반영, 공동체 활성화 지원
상품화, 마케팅, 홍보 등에 어려움을 갖고 있는 공동체사업 재료비등 소액을 지원함으로써 경쟁력 강화
-
사업내용Business Contents
성과평가 결과 발전가능 마을의 활동지원
총4개 공동체에게 마케팅홍보비, 준비활동비 등 지원: 개당 6.5백만원
-
추진일정Promotion Program Plan활성화 계획 수립 이후, 발전가능성 있는 공동체 지원
-
내용 추진계획수립 사업공모 창업활동지원 활동보고서 -
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-
내용 추진계획수립 사업공모 창업활동지원 활동보고서 -
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
-
4. 모니터링 및 수시상담
-
추진방향Progress Direction
사업이 추진되는 시기부터 월별 모니터링 및 수시상담을 통해 사업이 애초 목적에 맞게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함
성과지표 및 사업계획서를 토대로 사업단별 모니터링 일지와 관리카드를 작성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연말 성과분석에 기초자료로 활용
-
사업내용Business Contents
모니터링은 현장방문 위주로 추진하며 가급적 많은 주민들이 참여하게 함
전화통화, 방문상담 등 수시상담 내용을 기록하여 주 단위로 내용 정리
모니터링 및 수시상담을 통해 작성된 내용을 월별 현황자료로 정리
-
추진일정Promotion Program Plan활성화 계획 수립 이후, 발전가능성 있는 공동체 지원
-
내용 모니터링 수시상담 종합보고서 -
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-
내용 모니터링 수시상담 종합보고서 -
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
-